네이버 한자 필기입력기 사용법
요즘들어 한문을 보는게 쉽지 않은데요 예전에는 학교다닐때 한문 과목이 있었죠 단순 암기형으로 해서 한문 시험도 보고 그리고 옥편을 통해서 모르는 한자가 있으면 확인하곤 했었는데요 요즘은 한자를 본지가 오래되었던것 같아요
그리고 예전에는 생활속에서 종종 한자를 많이 봤잖아요 예를 들어서 신문을 볼때도 한글과 한자가 혼용으로 사용이 되면서 한자를 잘 모르면 읽는것도 시간이 많이 걸렸죠 그래서 신문을 잘 읽기 위해서라도 한자를 공부했던것 같아요
그리고 우리나라 이름은 대부분 한자로 되어있어서 음과 뜻으로 되잖아요 각자 이름에 풀이가 있는것이죠 그래서 한자로 자기이름을 쓰기도 하고 어디 신청서나 아니면 이력서 이런것을 내더라도 한자로된 자기 이름을 같이 적어서 냈었죠
하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이제 신문 자체도 한자로된 신문은 거의 볼수가 없죠 지금은 오히려 종이신문 자체를 많이 안보게 되었어요 왜냐하면 인터넷으로 조금만 검색해도 바로 뉴스를 알게 되니까요
종이신문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었죠 그리고 이제는 한자도 설사 모르는 단어가 나오더라도 인터넷으로 검색하면 바로 이 한자가 무슨 의미인지 알게 되니까요 정말 편리한 시대죠 그래서 영어든 한자든 모르는 단어 어휘가 나오면 바로 네이버에서 검색을 하면 간단히 해결이 됨을 알수 있습니다.
네이버 한자사전을 검색을 해주세요
난이도별 한자와 유의자 고사성어등 다양한 한자를 옥편처럼 찾을수가 있습니다.
오른쪽에 보면 필기인식기가 있죠 내가 마우스로 클릭해서 쓴 한자를 찾을수가 있죠
오늘의 고사성어로 고분지통이라는 뜻을 알수 있네요
한자 사전에 문이라고 적어보니까 수많은 문으로 된 한자가 나오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갈라놓은 부류 한가지의 학문 전문 창문등 정말 한자로 하니 그 뜻이 명확하게 확인할수 있습니다.
그외에도 번쩍일 섬 흘겨볼말등 다양한 문으로 이루어진 다양한 한자어를 찾을수 있네요
한국한자 능력검정시험 배정 한자도 급수별로 확인이 가능하네요
8급 50자부터 해서 특급 읽기 5978까지 이렇게 많은 한자가 있는줄 몰랐네요
그외에도 열십 배울학 마디촌 형형등 정말 내가 예전에 많이 읽고 외웠던 친근한 한자를 많이 확인할수 있습니다